2014년 1월 13일 월요일

기업의 정부.

엠비가카가 광우병 위험 소고기를 수입한다 했을 때에도 식재료의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는 시민들은 괴담을 유포한다는 오명을 써야 했다. 만약 그것이 안전한 소고기라면 광우병 발병 가능성이 없음을 수입업체가 입증해야 할 일인데도 말이다.

초고압 송전탑 인근에서 생활하는 일이 인간과 동식물에 유해한가의 문제도 비슷하게 전개되고 있다. 실제로 송전선로가 들어온 뒤 암 발병률과 사망률이 늘어난 마을이 있는데도 전자기파의 유해성이 입증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사건이 은폐된다.

인체에 유해할 가능성이 있는 사안에 대해 기업이 그 무해성을 입증하기 전까지 사업을 보류하도록 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어야 할 텐데 이상한 일이다. 친구와 이런 이야기를 하다가 깨달았다. 국민의 정부가 아니라 기업의 정부라는 자본주의 국가의 대전제를 인정하면 이해할 수 있는 일.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관련 기사 보고 울컥해서.



[끝나지 않은 고통, 가습기 살균제 비극]
● "쌍둥이 생명을 앗아간 '악마의 물질', 분탕질은 아직도…"
● 누가 죄 없는 엄마와 뱃속 아이를 죽였나
● "두 아이 낳아도 하늘로 간 두 아이가 그립다"
● 배구감독부터 의사까지…다양한 직업의 피해자들
● 두 번째 인생 꿈꾸던 그녀의 죽음, 책임은 누가?
● 산소통이 '절친'인 이들, 죽음보다 더한 고통
● 연이어 사망한 자매, 남은 가족들의 죄책감은…
● 가습기살균제가 앗아간 엄마, 남겨진 아이들의 고통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