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늑대
- 남자를 늑대에 비유하는 이유는 뭘까?
- 늑대가 악당으로 등장하는 유럽의 민담 <빨간모자>와 <일곱마리 아기염소> 이야기.
빨간모자에서는 늑대가 할머니와 빨간모자를 잡아 먹었는데 사냥꾼이 구출, 일곱마리 아기염소 이야기에서는 늑대가 엄마가 없을 때 엄마인 척 들어와서 새끼염소 여섯마리를 잡아 먹었는데 엄마염소가 집에와서 시계속에 숨어있던 막내염소와 함께 자기 새끼들을 구하려고 늑대의 배를 가르고 속에 돌을 채워넣지.
- 두 이야기에서 복수의 방법이 늑대의 배를 가른 뒤 돌을 채워넣고 다시 꿰매어서 늑대가 스스로 죽게 하는 것이라는 공통점 발견.
- 엄마 염소는 초식동물이니까 그렇다고 쳐, 근데 사냥꾼이라면 늑대를 사냥해야지 왜 뱃속에 돌을 넣어서 스스로 죽게 하나?
-늑대가 알려주는 교훈은 (특히 육식을 할 때) 음식은 꼭꼭 씹어먹어야 한다.
2. 돌로 죽이는 방법들 - 투석형
- 뱃 속에 돌을 넣어 죽이는 복수와 투석형 사이에 무슨 관계가 있을까?
- 투석형의 유래, 사례에 대해서 찾아봄
현대의 투석형, 이란의 끔찍한 사례들을 보다 보니, 투석형은 간통이나 동성애에 대한 처벌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성경에서도 예수님이 "너희 중에 죄 없는 자가 이 여인을 돌로 치라"고 하셨던 케이스가 간통으로 끌려온 것이었지. 근데 간통이면 남녀가 떡을 쳤을 텐데 왜 여자만...
- 지인과 페이스북 메신저로 대화
이선생님이 <알고보면 무시무시한 그림동화> 예를 들며 동화가 잔혹했다는 이야기를 하심. 내 생각엔 민담을 동화로 판 놈들이 문제라고 말씀드림.
그리고 당시 몇몇 일본작가들이 했던 자극적인 민담의 패러디가 나쁜 짓은 아니었지만 그것을 원전연구인 것처럼 포장하는 일은 나빴다는 요지의 이야기...
3. 그리스 신화에서 돌
- 투석과 돌 채워넣기는 다르다는 쪽으로 생각이 기울어감. 뱃속에 돌을 채워넣어 죽도록 한다는 이런 종류의 복수는 좀 더 여성적이라는 생각이...
- 레아가 제우스를 살리려고 크로노스한테 돌을 먹게 했다는 이야기. 크로노스는 제가 제 아비에게 했든 자식들이 저를 죽일까봐 겁을 먹고 레아가 낳은 자식들을 하나씩 집어삼켰는데, 자식을 낳자 마자 남편에게 빼았긴 레아가 막내인 제우스만은 구하려고 남편을 속여 돌을 먹게 함.
- 레아가 어머니 가이아의 도움을 받았던가? // 가이아는 대지의 여신, 티탄.
4. 돌을 먹는 사람들
- 돌을 먹게 하는 죽음의 이야기, 다른 건 없나 검색하다가, 미국과 중국에 돌 먹는 여자들이 있다는 소식을 알게 되었다. 돌이 맛있다고 하는 여자들의 이야기.
http://m.nocutnews.co.kr/view.aspx?news=2150081
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18018241&srcid=595528
5. 화형과 투석형
- 지인과 문자메시지로 유럽의 화형과 투석형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가 했던 이야기.
- 적어도 유럽의 마녀사냥에 대한 기록 중 투석이 함께 행해졌다는 기록은 없을 거예요. 예수님의 포쓰 넘치는 말씀 덕분에. / 사람을 불태워 죽이지 말라고도 말씀하셨다면 좋았을 텐데. / 남의 석유를 탐하지 말라. / 타 종교를 존중하고 이해하라...
6. 그림 동화는 동화가 아니다.
그림 형제의 동화는 사실 동화가 아니다. 우리는 흔히 독일어의 '메르헨 M rchen'을 동화로 옮기는데, 메르헨은 어원상 '이야기'라는 뜻에 지나지 않는다. 그림 형제의 메르헨은 작가를 알 수 없이 전해 내려오는 옛날 이야기, 즉 폴크스메르헨 Volksm rchen을 수집하여 다듬어낸 것이다. (중략)
그림 형제는 우리에게 이른바 동화집을 엮어 낸 사람들로 잘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근대 독일 문학의 창시자'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독일의 언어와 문학의 발전에 큰 공을 세운 학자이기도 하다. (중략)
그림 형제가 옛이야기를 수집한 데는 "민중의 정신"이 만들어낸 문학의 원형으로서 "자연 시가 Naturpoesie"를 추구한 낭만주의적 문학관이 자리하고 있다. 그들에게 민간 전승 문학은 인류의 "모든 삶을 촉촉하게 적시는 영원한 샘"에서 나오는 "영원히 타당한 형식"이다. 이러한 견해에서 그들은 아힘 폰 아르님과 클레멘스 브렌타노의 민요 수집을 도우면서 자신들도 민담을 수집하게 된다. (중략)
1818년 1월 18일 아힘 폰 아르님에게 보낸 야코프 그림의 편지에 보이듯이, 그림 형제가 원래 어린이를 염두에 두고 옛이야기 책을 편찬한 것은 아니었다.
"나로서는 어린이들을 위해 이 옛이야기 책을 쓴 것은 전혀 아니었네. 그러나 그들에게도 상당히 바람직할 거야. 나는 그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네."
그렇기는 하지만 초판이 나오자 실제 독자는 어린이들임이 드러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미 1819년의 2판부터 특히 빌헬름의 손질이 가해지며, 이는 판을 거듭할수록 강화된다. 2판의 서문에서 그림 형제는 어린이와 옛이야기의 특별한 관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러한 문학의 내부에는 어린이들을 그토록 경이롭게 복되게 보이도록 하는 저 순수함이 흐르고 있습니다. 그들은 똑같이 파르스름할 정도로 새하얗고 순결한, 빛나는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그림 형제가 옛이야기들에 놀라울 정도의 순수함을 인정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동화에는 비록 많은 수정을 거친 최종판을 보더라도 어른들이 어린이들에게 읽어주기 어려운 잔혹한 장면들이 곳곳에 눈에 띈다. 따라서 이런 옛이야기들이 아이들에게 들려주기에 적합한가하는 물음이 제기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2차 세계대전 후에는 영국 점령군이 그림 동화의 인쇄를 금지시킨 일도 있었다. 거기서 보여지는 잔혹성들이 나치의 강제 수용소를 연상시킨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잔혹한 장면들은 독일의 옛이야기에만 나오는 것은 아님을 생각하면, 그러한 연관성은 이내 반박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잔혹한 장면, 성적인 장면들이 걸러지지 않고 옛이야기들 속에 들어가 있게 되었는가를 그러한 이야기들을 탄생시킨 실재 세계와의 관련에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후략)
출처: <문학과 교육> 2000년 봄호, 필자: 김경연
전문읽기: 그림 동화 -- 정말 무시무시한 `동화`??? http://schonte.egloos.com/7103275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