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3월 30일 토요일

그림형제 독일민담.

이혜정, 그림형제 독일민담 - 새롭게 풀어보는 상징과 은유의 세계, 뮤진트리, 2010

작나무의 작은나무: 오늘의 망상 : 돌과 여자 - 이런 망상에 이어, 이 책은 아주 흥미로왔다.  몇 가지 더 발췌.

1.
그림Grimm형제의 메르헨Maerchen은 '민담'으로 해석, 주로 전래민담Volksmaerchen을 의미함. 창작민담은 kunstmaerchen. / KHM : Kinder-und Hausmaerchen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민담은 1812년 12월 25일 출간, 잔인하고 폭력적이라는 비판을 받았고  이후 1857년까지 7차례에 걸쳐 증편과 개편이 이루어짐.

2.
개구리 왕 또는 충직한 하인리히 (aka 개구리 왕자)에서 1815년의 판본에는 밤에 개구리가 공주의 방문을 두드리자 공주가 "아, 개구리 내 남편이 왔구나."하며 아무 거부감 없이 문을 열고 동침한 뒤 다음날 아침에 왕의 축복을 받으며 결혼을 하게 되었다고.

그러나 다른 판본에서 공주가 개구리를 역겹게 여기며 침대에 올려달라고 요구하는 개구리를 벽에 내던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경험론에 근거해보면 공주의 난폭한 행동은 충분히 납득할만 하다. 처녀에게 남자와의 동침이란 얼마나 공포스럽고 역겨운 느낌인가! 특히 남성 생식기의 모양은 개구리와 다를 바 없는 것이다. 아아, 개구리, 너님 참으로 남자답구나.

3.
장미아가씨 (aka 잠자는 숲속의 미녀) 이야기의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는 '무시간성' 100년이 동안 공주와 성 안 사람들의 시간은 멈추어있다가 저주가 풀리는 순간 아무렇지 않다는 듯 다시 재생된다.
그림형제는 마녀Hexe라는 외국어 대신 무녀, 현명한 여인 Die weise Frau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는데, 이 때 현명한 여인은 여자마법사나 산파 같은 긍정적인 인물이었다.

1634년에 출간된 바실레의 <<펜타메로네>>는 어른들을 위한 책이었는데, 여기에 수록된 <해, 달, 그리고 탈리아> 이야기는 그림형제나 페로의 민담보다 노골적인 내용이 실려있다. 물레바늘에 찔려 잠든 공주에게 반한 왕자가 공주를 깨우지도 않고 일단 사랑을 즐긴다. 그 결과 공주는 쌍둥이를 임신하는데 왕자는 임신한 공주를 내버려두고 도망을 친다. 공주는 여전히 잠이 든 채로 쌍둥이를 출산, 쌍둥이 중 하나가 배가 고파서 공주의 손가락을 빨자 물레바늘이 빠져 공주가 잠에서 깨어난다는 내용이다.

공주가 물레바늘에 찔려 피를 흘린 것은 월경의 상징이라 볼 수 있으며, 100년 동안의 잠은 모의 죽음으로 설명할 수 있다. 사춘기 소녀가 (배우자를 만나기까지) 심리적으로 성숙해가는 기간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또한 프로이트에 따르면 나선형 계단을 오르는 것, 잠겨있는 작은 방을 여는 것은 성적인 경험을 상징한다고 볼 수도, 어쨌든 장미 아가씨가 계단을 올라가 작은 방에 이르는 것은 성적인 인식에 도달했음을 나타낸다고. 탑 꼭대기에서 만난 노파의 존재는 여성에게서 여성으로 계승되는 월경의 저주를 보여주고.

이런 해석에 동의하지 않을지라도 이 모든 사건에서 중심에 여성이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 박해받고 감금당하는 주인공도 여성이며 저주하는 적대자도 여성이고 최후의 보호자 역시 여성이다. - 그러나 아가씨를 구원해주는 자는 남성, 또는 남자가 뿌린 씨앗이 잉태된 아기라는 점, 역시 흥미롭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